현재의 우주론은 상상과 추론이 난무하던 불확실성의 시대를 벗어나, 정확한 관측자료에 입각한 확실성의 세계로 옮겨가고 있다. 그동안 우주론학자들은 사방에서 쏟아지는 비평을 감수해야 했다. 심혈을 기울여 이론을 내놓아도, 그것을 검증할 만한 관측데이터가 태부족했기 때문이다. (31쪽)
1919년에 두 팀의 천문학자들이 아인슈타인의 일방상대성이론을 실험으로 확인하기 위해 장거리 관측여행을 떠났다. 그들의 목적은 태양의 중력에 의해 빛의 궤적이 휘어진다는 아인슈타인의 예견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태양에 가려 눈에 보이지 않아야 할 별이 관측자의 시야에 들어올 것이다.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태양의 질량에 의해 그 근처의 공간이 휘어져 있으므로 별빛은 휘어진 공간을 따라가게 된다. 즉, "중력이 물체를 잡아당기는 것이 아니라, 휘어진 공간이 물체를 밀어내는 것이다."(78쪽)
인플레이션이론이 예견한 내용들 중 가장 검증하기 어려운 것은 뭐니 뭐니 해도 다중우주의 존재 여부이다. 각 우주마다 다른 물리법칙이 적용된다는 다중우주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인플레이션이론이라는 것이 아인슈타인 방정식과 양자이론의 기이한 특성을 십분 활용한 이론이라는 점을 깊이 이해해야 한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다중우주의 존재를 허용하고 있으며, 양자이론은 다중우주들 사이의 이동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또한 M-이론은 다중우주와 시간여행을 서술하는 방정식을 제공해줄 강력한 후보로 부상하고 있다.(182쪽)
흔히 '다중우주이론many worlds theory'이라 불리는 이 논리는 모든 가능한 양자적 세계가 여러 개의 우주 속에 공존한다는 것을 기본가정으로 삼고 있다. 이 이론을 수용하면 미스너의 우주에서 복사에너지가 무한대로 발산하는 문제를 피해갈 수 있다. 다중우주에서 경계를 통과한 복사는 같은 우주로 재등장하지 않고 다른 우주로 진입하기 때문이다.(236쪽)
지구의 환경이 생명체에게 가장 이상적으로 세팅되어 있다는 것은, 태양계 바깥에 또 다른 행성들의 존재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리스는 우주의 운명을 좌우하는 모든 상수들이 가장 적절한 값으로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평행우주가 존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94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