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감동을 실현하는 기업 - 디앤아이(주)
커뮤니티
처음으로
> 커뮤니티 > 자주하는질문
:: 글답변 ::
이 름
패스워드
이메일
홈페이지
제 목
> > > 수의란 무엇인가? > > > 수의는 염습 때 죽은 사람의 시신에 입히는 의복입니다. 이러한 수의가 갖는 상징적인 의미는 바로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죽음에 대한 관념이 되므로 중요한 의의를 갖습니다. > 수의가 제작되는 과정과 소용되는 절차를 그대로 객관적인 입장에서 분석하여 수의에 형상화 되어 나타나는 내용을 고찰하여 나타난 속성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 > > 첫째 긍정적인 의미에서 수의는 혼례복과 같이 동등하게 취급하고 수의를 제작하는 날은 이웃과 친지들이 함께 모여 잔치를 치르듯 즐거운 분위기가 형성되고 제작 후에는 수의를 착용할 당사자가 수의를 자주 꺼내 보며 즐거워하며 또 이 수의를 결혼하는 이에게 3번 빌려주면 쌍방간에 다 좋다고 믿었습니다. > 둘째 부정적인 의미로는 제작 시 특별한 금기사항이 나타나는데 수의는 주로 윤달에 만들고 아침에 시작하여 하루안에 완성해야 한다 하였습니다. 또 수의를 꿰매는 실은 도중에 잇거나 끝을 옥치면 안 되고 시신에 입힐 때는 형식적인 목욕을 시킨 후 엄숙하고 경건하게 다루어야 합니다. > > > > 수의의 준비와 보관 방법 > > > 과거에는 장례기간이 보통 5일장이고, 잘사는 집은 9일장, 사대부는 25일장(踰月葬)등 이었다고 합니다. > 장례기간이 길어서 수의를 준비하는 시간도 충분하였지만, 요즈음은 거의가 3일장이므로 장례기간 중의 수의 준비시간이 충분하지 못합니다. > 따라서 수의를 미리 준비해 놓는데 이것은 죽음을 삶의 끝으로 보지 않고 새로운 삶의 시작으로 보는 긍정적인 내세관 때문이기도 합니다. > 그리고 수의를 지어 놓았다는 말이 어른들 귀에 들어가면 효성이 지극한 것으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 수의를 입을 당사자도 마음이 편안하기 때문에 수의를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예의이며, 상례라고 하였습니다. > 수의를 준비하는 시기는 회갑이 지난 뒤 날을 정하여 합니다. > 주로 윤년의 윤월, 윤년의 생일달이나 청명월에 하는 것이 좋고 이것을 믿지 않는 사람은 날을 받아했었다 합니다. > 이렇게 윤년에 수의를 준비하는 이유는 윤월이 공월이며 남의 달 덤의달 여벌달이고 손이 없으며 탈이 없는 閑月이라는 믿음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 수의를 미리 준비하는 사람은 대부분이 장의사에 맡기시는 경우, 손수 제작하는 경우 수의점에서 맞추어 준비해 두는 경우입니다. > 미리 준비된 수의를 잘 보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 됩니다. 보관을 잘못하면 수의의 옷감이 상하고 자손된 도리를 다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 수의를 보관할 때에는 오동나무는 좀이 슬지 않으므로 오동나무 함에 수의를 보관합니다. > 옷과 옷 사이에 좀약이나 잎담배를 창호지에 싸서 넣어 보관하기도 합니다. > 이외에 약쑥, 할미꽃 뿌리, 향을 넣거나, 냄새가 좋은 풀인 국궁이 잎을 넣기도 합니다. > 궁궁이와 형태가 비슷한 "청궁"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반대로 냄새가 좋지 않는 "소독나무"를 넣어 나쁜 냄새로 하여금 벌레가 오지 못하게 하여 수의를 보관합니다. > 이렇게 보관해온 수의는 1년에 한번씩 맑은 공기와 햇빛에 노출 시켜 줘야 합니다. > 습도가 높은 장마철이 지나가면 날씨가 맑고 바람이나 습기가 없는 날에 자리를 깔고 널어서 거풍을 한 다음 거두어 다시 보관합니다. > 음력 칠월칠석날 거풍을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 만약 이날 비가 오면 일주일 뒤에 거풍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습니다. > 삼배로 수의를 제작하면 좀이 슬지 않으므로 거풍이 필요 없다고도 하였습니다. >
파일첨부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_